azure 인스턴스 생성 후 docker를 설치해보려고 한다. ubuntu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하여 docker를 설치한다. sudo wget -qO- http://get.docker.com/ | sh 구로묜 위와 같이 permission denied라는 권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아래와 같이 해결하면 된다. 1. sudo groupadd docker 2. sudo usermod -aG docker $USER 3. newgrp docker 위와 같이 발생하는 경우는 linux에서 root권한이 아닌 상태로 docker를 실행하면 권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docker group에 USER를 추가해줘야한다. 보통 docker group이 생겼을 텐데 안생겼을 경우 1번과 같..
azure vm 환경에서 docker를 띄워보기 위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았다. 우선 리소스 그룹을 먼저 만들었다. 1. 리소스 그룹 생성 이름, 영역 정하고 검토+만들기 버튼 클릭하면 생성된다. 리소스 그룹 지정하고 이름 입력하고 지역 선택한다.! 2. 가상 네트워크 생성 홈> 가상 네트워크 > 가상네트워크 생성에 들어가서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서브넷은 default로 체크한다. 쳌쳌 나는 보안은 일단 다 사용하지 않게 체크하여 검토+ 만들기 버튼 클릭하여 생성하였다. 3. 공용 IP 주소 생성 No touch 4. 네트워크 보안 그룹 생성 No touch 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생성 No touch 6. 디스크 생성 No touch 7. 가상머신 생성 No touch 리소스 그룹 설정하고 이름 입..
nginx + nodejs 설정하기 nginx가 뭔지 알아보고 이제는 직접 docker-compose 파일 설정을 해보려고 한다. 우선 docker-compose.yaml의 설정 파일 구조를 파악하고 어떤 것을 뜻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아래의 코드가 설정한 docker-compose.yaml이다. version: '3' services: nginx: image: nginx:latest ports: - 80:80 networks: - test_net volumes: - ./nginx-conf/nginx.conf:/etc/nginx/nginx.conf - ./nginx-conf/sites-available/local.web.tv:/etc/nginx/sites-available/local.web.tv - ...
Nginx란? 비동기 이벤트 기반구조의 경량 웹 서버이다. HTTP와 리버스 프록시, IMAP/POP3 등의 서버 구동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에 맞는 정적파일을 응답해주는 HTTP web server로 활용되기도 하고, Reverse Proxy Server로 활용하여 WAS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로드 밸런서로 활용되기도 함. Nginx 구조 하나의 Master Process와 다수의 worker Process로 구성되어 실행된다. 모든 요청은 worker process에서 처리한다. nginx는 이벤트 기반 모델을 사용하고, worker process 사이에 요청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OS에 의존적인 메카니즘을 사용. Master Process 설정파일을 읽고, ..
현재 A 서비스는 따로 docker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지 않는데...이거를 차근차근 docker화 시키고 compose화 시키고 CI/CD TOOL도 붙이는 것이 1차 목표이다. 2차 목표는 설계한 환경을 그대로 쿠버네티스 환경으로 이식하는 것이다. 이것을 해보면 첫번째로 DevOps에 대한 첫 걸음은 뗄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처음으로는 서비스를 이미지로 빌드하고 컨테이너까지 실행하여 로컬 환경에서 띄워보는 것이다. 서비스를 이미지로 빌드하기 우선 서비스를 이미지화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Dockerfile, .dockerignore 만 있으면 지금 현재의 서비스에서는 빠르게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다. 지금 현재 A서비스는 Nodejs + expr..